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Current Issue

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 Vol. 33 , No. 1

[ ORIGINAL ARTICLE ]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 Vol. 32, No. 2, pp. 85-94
Abbreviation: JSLHD
ISSN: 1226-587X (Print) 2671-715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9 Apr 2023
Received 22 Mar 2023 Revised 30 Mar 2023 Accepted 30 Apr 2023
DOI: https://doi.org/10.15724/jslhd.2023.32.2.085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집단 간 인식 비교: 언어재활사, 유아특수교사,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오미라1 ; 이우진2, * ; 박은실2
1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언어치료학과 석사
2광주여자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A Comparison of Group Perceptions Toward Young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Focusing on Speech-Language Pathologist,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hild Care Teachers
Mi Ra Oh1 ; Woo Jin Lee2, * ; Eun Sil Park2
1Dep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Graduate School of Social Development, Kwangju Women’s University, Master
2Dep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Kwangju Women’s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ence to : Woo Jin Lee, PhD E-mail : leewojin@kwu.ac.kr


Copyright 2023 ⓒ 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
목적:

오늘날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여성들이 많아지면서 유아들은 어린 나이에 어린이집이나 다른 양육자들에게 또는 다양한 매체 노출로 인해 일상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영유아들이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들을 중심으로 집단 간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도구는 전문가 신뢰도와 타당도를 거쳐 최종 62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참여 대상은 언어재활사, 유아특수교사, 보육교사집단 각 100명으로 총 300명이 참여하였다. 연구설계로 집단 간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과 하위영역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는 다중범위 검정(Duncan’s multiple rage test)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유아 문제행동 인식으로 유아 문제행동에 대해 모두 보통(3.0) 이상으로 평균 3.87로 나타났으며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행동 문제, 정서적 문제, 생리적 문제, 성 문제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사회성과 발달 문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정 결과 사회성과 발달 문제에서 유아특수교사집단과 보육교사집단은 차이가 없었으나 언어재활사집단과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전문가 집단 간 유아 문제행동 하위영역 인식으로 도덕성과 배설, 인지 관련 항목에서 언어재활사집단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유아특수교사집단, 보육교사집단 순으로 나타났다. 사후검정에서 유아특수교사집단과 보육교사집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언어재활사집단과는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언어재활사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은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유아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아동에게 적합한 치료 및 교육 방법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Purpose:

As more and more women today combine work and childcare, more and more infants and toddlers have difficulty adapting to daily life due to exposure to child care centers, other caregivers, or various media at a young 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problem behaviors among young children, focusing on early childhood-aged children with problem behavior.

Methods:

After going through expert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final 62 items were composed. A total of 300 people participated. As a research design, a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and the perception of each subgroup between groups. Duncan’s multiple rage test was conducted for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Results:

First, recognition of problem behaviors among young children showed an average of 3.87 above average (3.0) for all problems of young children,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groups. Second, among expert groups, the speech-language pathologist group recognized the highest in morality, excretion, and cognition-related items, followed by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group and the child care teacher group. In the post-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group and the child care teacher group.

Conclusions:

The fact that speech-language pathologist groups are more aware of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than other groups suggests that communication difficulties are directly related to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expected to help children with treatment and education methods.


Keywords: Childhood, problem behaviors, speech-language pathologist,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hild care teachers
키워드: 유아, 문제행동, 언어재활사, 유아특수교사, 보육교사

Ⅰ. 서론

유아기는 언어, 인지, 또래와의 관계 속에서 사회적 행동들이 이뤄지며 다양한 경험들과 외부의 자극은 영유아기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Lee, 2008). 사회의 급변화로 결혼 후에도 육아와 일을 병행하는 여성들이 많아지며 유아들이 어린이집이나 다른 양육자에 의해 양육되고 2019년 통계청 ‘일 가정 양립지표’에 의하면 ‘18년 10월 기준 18세 미만 자녀를 둔 맞벌이 가구는 5,675가구’로 14년 5,186가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더불어 보육시설 이용 아동은 209만 2천명으로 만 2세 반까지 아동이 59.6%를 차지하며, 유치원은 만 4세 반 이상 아동이 75.8%를 차지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9). 유아교육기관에서 많은 시간을 가족 이외의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과 타인에 대한 지각을 발달시키며,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는 중요한 시기이다(Lee & Hyun, 2008). 특히, 유아기는 어휘력 및 의사소통에 있어 언어사용능력이 폭발적으로 발달하는 결정적 시기이다. 유아들은 초기 가정에서 부모와 연결된 수직적 관계망을 벗어나 유아교육기관에 유입되면서 또래들과 보다 확장된 수평적 관계망을 형성하고 그 속에서 활발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언어를 발달시켜 나간다(Park & Kim, 2017). 유아기 시기에 원활한 사회화 과정을 겪지 못하는 경우 부적절한 환경에 노출됨으로써 심리적 불안이 야기되어 문제행동이 나타날 수 있다(Park et al., 2010). 선행연구에 의하면 약 10~20%의 유아들이 문제행동을 보였고 만 3~5세 유아의 6~13%는 높은 수준의 문제행동을 보였으며 그중 3~5%는 전문적인 상담과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보고하였다(Lee et al., 2004).

문제행동은 사회적으로 수용되지 않고 상황에 맞지 않는 자의적 행동을 일컫는데 발달적, 사회적, 상황적 기준을 고려해야 하므로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렵다(Yin & Song, 2022). 그러한 일반적으로는 일상생활에서 유아의 인지, 정서, 심리, 운동 등의 행동이 정상적인 유아의 범주적 행동과 달리 발달이나 사회 규범에서 벗어나는 행동상의 비정상을 뜻하는 것으로 환경 속에서 유발되는 부적응 상태를 의미한다(Song & Lee, 2001). 유아들의 문제행동은 유아에게 나타내는 행동의 특징에 따라 학자마다 각기 다른 기준 및 용어로 분류하는데 크게 내재화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으로 나눌 수 있다(Jo & Seu, 1998). 내재화 문제행동이란 외로움, 사회적 위축, 불안, 두려움과 같은 정서적인 문제를 의미하고 외현화 문제행동은 공격성, 과잉행동, 주의집중, 거짓말, 도벽, 괴롭힘과 같이 외부적으로 표현되거나 부정적인 감정을 적절히 통제할 수 없는 행위로 정의된다(Achenbach & Edelbrock, 1983).

이처럼 유아기는 사회적 행동을 배워가는 시기로 항상 잠재적인 문제 상황에 놓여 있다. 따라서 유아의 모든 행동은 바람직한 행동이 아닐 수도 있으며 부모나 교사가 유아의 모든 행동들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문제행동으로 인식하여 제재를 가할 수도 있다. 또한 유아의 문제행동은 금방 소멸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이후 부적응 행동을 일으킬 수 있고 이러한 문제들이 고정화되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나 주어진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 힘들 뿐만 아니라 반사회적 행동 및 비사회적 행동을 초래할 수 있으며 사회 정서적 발달과 인지적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Sim & Kim, 2014).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다양한 선행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유아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변인과 환경적 변인을 중심으로 한 연구들이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개인적 변인으로 성별, 자아개념, 언어발달 및 인지발달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Kwon & Chun, 2015; Kwon et al., 2016; Lee & Yoo, 2012). 환경적 변인으로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교육기관, 우울, 부부 갈등 등이 진행되었다(Ha, 2022; Ji et al., 2021; Lee & Noh, 2017).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관련 논문으로 문제행동의 정의, 부모와 교사 간의 인식 차이, 경력교사와 초임교사 인식 비교 등(Bae et al., 2009; Hong & Moon, 2017; Jeong & Lee, 2014; Jun, 2014; Kim, 2007; Ko, 2007)을 들 수 있다. 교육기관(어린이집, 유치원)에서 교사 유아 간 상호작용은 대부분 언어적 의사소통으로 이루어지므로(Lee, 2016; Lee & Pu, 2014) 무엇보다도 교육을 하는 교사 입장에서 유아의 문제행동을 바라보는 관점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전문가들의 고견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은 주로 부모와 교사 중심의 연구이며, 직ㆍ간접적인 관찰과 더불어 집단 간 문제행동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에 대한 전문가 의견은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장애아동 또는 유아를 담당하는 직업으로는 언어재활사, 특수교사가 있으며 유아를 담당하는 직업으로는 보육교사 또는 유치원 교사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직접 관찰이 가능한 언어재활사, 유아특수교사,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정의를 기반으로 인식도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언어재활사, 유아특수교사, 보육교사) 유아 문제행동 영역별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집단 내 유아 문제행동 하위영역별 인식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에는 ○○광역시와 ○○남ㆍ북도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언어재활사, 유아특수교사,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층화군집표집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100명이 참여하였다. 일반적인 정보는 Table 1에 제시하였다.

Table 1. 
Participants’ information
Classification SLP SET CCT
Frequency (%) Frequency (%) Frequency (%)
Age group Twenties 50 22 35
Thirties 20 34 30
Forties 28 29 23
≥ Fifties 2 15 12
Gender Male 5 7 2
Female 95 93 98
Teacher career < 3 years 52 17 20
3~6 years 22 17 15
6~9 years 13 16 18
9~12 years 6 25 22
≥ 12 years 7 25 25
Training experience Yes 58 79 68
No 42 21 32
Training time < 1 hours 2 3 7
2~3 hours 17 22 24
1 day 15 9 7
2 day 3 3 7
≥ 3 day 21 42 23
Note. SLP=speech-language pathologist; SET=special education teacher; CCT=child care teacher.

2. 연구설계
1) 예비연구

본 연구를 실시하기 전 연구도구의 적절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연구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언어재활사 및 유아특수교사,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2) 본 연구

본 연구는 ○○광역시와 ○○남ㆍ북도 지역 어린이집, 장애아전담어린이집, 언어치료센터, 복지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언어재활사, 유아특수교사,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2019년 5월 27일부터 3주에 걸쳐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표집방법으로 스노우볼표본추출법(snowball sampling)으로 진행하였다. 온라인은 Google 설문지와 SNS URL(링크) 주소를 배포하여 언어재활사, 유아특수교사, 보육교사들의 참여를 유도하였다. 결과적으로 회수된 총 344부 중 불성실한 응답과 중복 체크 되어 있는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30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3. 연구도구 및 분석
1) 검사도구 개발

Ko(2008)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 문제행동 평가도구와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였다. 문항구성은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현직에 있는 교사 2명에게 단어와 문자의 적절성을 살펴보고, 문항내적일치도를 위해 교육학, 언어치료학 등을 전공한 6명의 외부 전문가를 중심으로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4점 이상의 타당도가 확보된 항목을 확정한 후 수정과정을 거쳤다. 검사문항 간 신뢰도는 Cronbach’s α .973으로 나타났다.

2) 항목별 조작적 정의

첫째, 행동 문제로 아무런 이유 없이 또래가 만들고 있는 장난감을 부수거나 공격적인 행동과 주의가 산만하여 집중하지 못하고 발달 지연을 보이는 경우 둘째, 사회성 문제로 또래와 관계 형성을 하지 못하고 기본적인 생활 규칙을 지키지 못하고 집단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 셋째, 정서 문제로 부모와 떨어질 경우 심리적으로 안정되지 못하고 불안한 정서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울음과 칭얼거림, 눈 깜빡이는 등의 틱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 넷째, 생리 문제로 심리적으로 불안함으로 배변이나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경우나 편식, 음식을 거부하는 경우 다섯째, 발달 문제로 또래 아동에 비해 인지능력과 언어능력이 부족한 경우 여섯째, 성 문제로 다른 사람의 특정 부위를 자주 만지는 행동이나 자위 행동 등을 하는 경우로 조작적 정의를 하였다.

3) 검사도구 문항 구성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 문항으로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 비교를 위해 문제행동으로 행동 문제, 사회 문제, 정서 문제, 생리 문제, 발달 문제, 성 문제 등 6개의 문제행동 유형과 하위영역으로 공격성, 주의산만, 사회성, 도덕성, 우울, 불안, 틱, 배설, 섭식, 섭식회피, 인지발달, 성으로 총 62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Table 2. 
Composition of literary behavior questions
Classification Number of questions
Behavior Aggression 8
Attention deficit 8
Social Sociability 6
Morality 6
Emotion Depression 1
Unrest 6
Tic 6
Physiology Excretory 3
Feeding 2
Avoidance of eating 2
Development Cognitive ability 8
Sex Sexual 6
Total 62

4. 결과처리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집단 간 인식 특성과 문제행동별 하위영역 간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집단 간 차이는 Duncan의 다중범위 검정(Duncan’s multiple rage test)을 통하여 p<.05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검정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집단 간 유아 문제행동 인식

집단 간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영역별 이해 차이를 살펴보기 행동 문제, 사회성 문제, 정서적 문제, 생리적 문제, 발달 문제, 성 문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Table 3에 제시하였다. 유아 문제행동에 대해 모두 보통(3.0) 이상으로 평균 3.87로 나타났으며 집단에서 항목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F=3.620, p<.05).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행동 문제(F=1.619), 정서적 문제(F=1.188), 생리적 문제(F=1.619), 성 문제(F=1.619)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사회성 문제(F=4.754), 발달 문제(F=9.349)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정 결과 사회성 문제(F=4.754, p<.01)에서 유아특수교사집단과 보육교사집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언어재활사집단과는 차이가 있었다. 더불어 발달 문제(F=9.349, p<.001)에서도 유아특수교사집단과 보육교사집단은 유아의 문제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언어재활사집단과 차이가 있었다. 집단 내 유아 문제행동 인식의 우선순위로 언어재활사집단에서 평균 3.90 보다 높게 인식하는 항목으로 성 문제(M=4.15), 발달 문제(M=3.99), 행동 문제(M=3.97)였다. 다음으로 유아특수교사집단에서 평균 3.73 보다 높게 인식하는 항목으로 성 문제(M=4.01), 행동 문제(M=3.87), 발달 문제(M=3.75)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집단에서 평균 3.69 보다 높게 인식하는 항목으로 성 문제(M=3.98), 공격성 문제(M=3.99)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3. 
Results of intergroup sub problem behavior analysis
Classification SLP SET CCT F Duncan
M SD M SD M SD
Behavior 3.97 .48 3.87 .50 3.85 .53 1.619
Social 3.84 .45 3.67 .55 3.63 .54 4.754** a>b,c
Emotion 3.60 .55 3.49 .54 3.50 .61 1.188
Physiology 3.82 .56 3.75 .65 3.62 .65 2.605
Development 3.99 .63 3.71 .59 3.65 .59 9.349*** a>b,c
Sex 4.15 .57 4.01 .70 3.98 .65 1.848
Total 3.90 .45 3.73 .49 3.69 .52 3.620* a>b,c
Note. SLP=speech-language pathologist; SET=special education teacher; CCT=child care teacher.
*p<.05, **p<.01, ***p<.001

2. 집단 내 유아 문제행동 하위영역별 인식

집단 내 유아 문제행동 하위영역별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여섯 개의 유아 문제행동을 중심으로 각 하위 12개 변인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Table 3에 제시하였다. 집단 간 문제인식에 대한 우선순위를 언어재활사집단의 경우 유아 문제행동으로 성(M=4.15), 공격성(M=4.14), 도덕성(M=4.03), 배설(M=4.00), 인지(M=3.99)의 순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아특수교사집단의 경우 유아 문제행동으로 공격성(M=4.04), 성(M=4.01), 도덕성(M=3.83), 배설(M=3.82) 순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집단의 경우 공격성(M=3.99), 성(M=3.98), 도덕성(M=3.77), 주의산만(M=3.71) 순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항목별 문제행동 인식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행동 문제의 하위항목 중 공격성 인식에서 언어재활사집단(M=4.14), 유아특수교사집단(M=4.04), 보육교사집단(M=3.99) 순으로 공격성 문제행동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후검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주의산만에서는 언어재활사집단(M=3.81)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유아특수교사집단(M=3.71)과 보육교사집단(M=3.71)의 평균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검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Table 4. 
Perception by sub-area of infant problem behavior in a group
Classification SLP SET CCT F Duncan
M SD M SD M SD
Behavior Aggression 4.14 .53 4.04 .64 3.99 .59 1.656
Attention deficit 3.81 .55 3.71 .50 3.71 .55 1.028
Social Sociability 3.65 .52 3.50 .58 3.49 .55 2.704
Morality 4.03 .48 3.83 .60 3.77 .64 5.427** a>b,c
Emotion Depression 3.66 .77 3.60 .83 3.56 .84 .382
Unrest 3.59 .55 3.47 .53 3.43 .62 2.001
Tic 3.60 .64 3.49 .64 3.56 .70 .782
Physiology Excretory 4.00 .66 3.82 .70 3.69 .75 4.937** a>b,c
Feeding 3.74 .62 3.74 .78 3.60 .71 1.352
Avoidance of eating 3.63 .75 3.66 .76 3.54 .80 .645
Development Cognitive ability 3.99 .63 3.71 .59 3.65 .59 9.349*** a>b,c
Sex Sexual 4.15 .57 4.01 .70 3.98 .65 1.848
Note. SLP=speech-language pathologist; SET=special education teacher; CCT=child care teacher.
**p<.01, ***p<.001

사회성 문제 하위영역 중 사회성 관련 항목에서 언어재활사집단(M=3.65), 유아특수교사집단(M=3.50), 보육교사집단(M=3.49) 순으로 공격성 문제행동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후검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도덕성 관련 항목에서는 언어재활사집단(M=4.03)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유아특수교사집단(M=3.50), 보육교사집단(M=3.49) 순으로 나타났다. 사후검정에서 유아특수교사집단과 보육교사집단은 차이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언어재활사집단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F=5.427, p<.01).

정서 문제 하위영역 중 사회성 관련 항목에서 언어재활사집단(M=3.66), 유아특수교사집단(M=3.60), 보육교사집단(M=3.56) 순으로 나타났으나, 사후검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불안 행동 또한 우울 행동과 같이 언어재활사 집단(M=3.59), 유아특수교사집단(M=3.47), 보육교사집단(M=3.43)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사후검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틱장애는 언어재활사집단(M=3.60)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보육교사집단(M=3.56)과 유아특수교사집단(M=3.49)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후검정에서는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생리 문제 하위영역 중 배설 관련 항목에서 언어재활사집단(M=4.00)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유아특수교사집단(M=3.82), 보육교사집단(M=3.49) 순으로 나타났다. 사후검정에서 유아특수교사집단과 보육교사집단과는 차이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언어재활사집단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F=4.937, p<.01). 섭식 관련 항목에서 언어재활사집단(M=3.74)과 유아특수교사집단(M=3.74)이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보육교사집단(M=3.60)과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사후검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섭식 회피에서 유아특수교사집단(M=3.66)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언어재활사집단(M=3.65), 보육교사집단(M=3.54) 순으로 나타났다. 사후검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발달 문제 하위영역에서 인지능력 영역 관련 항목에서 언어재활사집단(M=3.99)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유아특수교사집단(M=3.71), 보육교사집단(M=3.65) 순으로 나타났다. 사후검정에서 유아특수교사집단과 보육교사집단과는 차이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언어재활사집단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F=9.349, p<.001).

성 문제는 언어재활사집단(M=4.15)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유아특수교사집단(M=4.01), 보육교사집단(M=3.98)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후검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언어재활사, 유아특수교사, 보육교사집단 간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영역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연구결과에 대해 아래와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유아 문제행동 영역별 응답 결과로 행동 문제, 사회성 문제, 정서적 문제, 생리적 문제, 발달적 문제, 성 문제 중 사회성 문제와 발달 문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나머지 행동, 정서, 생리, 성 문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사회성 발달은 유아기에 이루어야 할 중요한 발달과업이며 이 시기에 적절한 발달을 이루지 못한다면 사회성의 결함을 느끼고, 또래에게 소외되는 경험을 한 사람이라고 한다(Hartup, 1991; Jang, 2009; Kim & Park, 1997). 본 연구결과에서 언어재활사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사회 문제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던 것은 다른 집단에 비해 언어치료의 본질적인 정의에 의거한 결과가 아닌가 유추해 볼 수 있다. 언어치료 전문직이란 언어치료는 질병을 고치는 것이 아니라, 언어행동을 보다 바람직한 행동으로 변화시키는 것(Kwon et al., 2012)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다시 말해, 언어치료는 가장 기본적인 바탕이 되는 의사소통이라는 개념 안에는 화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와 화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파트너 그리고 전달하는 메시지의 형태가 포함된다. 말과 언어는 혼자서도 가능하지만 의사소통은 최소한 2인 이상이 상호관계를 맺어야 한다(Ko, 2021). 언어치료 현장에서도 의사소통능력에 결함이 있는 언어장애 아동들은 타인과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학습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언어치료를 통해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개인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고 그를 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Kim & Hong, 2013).

다음으로 발달 문제에서 다른 집단과 비교에서 언어재활사집단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발달 문제를 본 연구에서는 인지와 언어발달을 중심으로 조작적 정의를 내렸다. 다른 집단에 비해 언어재활사집단의 경우 언어치료 과정으로 언어능력을 진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치료계획안을 작성하고 작성된 치료계획에 따라 치료를 실시하고 실시한 치료결과를 진단 평가하여 다음의 치료계획에 반영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2018). 즉, 언어치료재활서비스 관련 기관은 다른 기관에 비해 주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언어발달문제와 더불어 사회성 발달 문제 해결과 밀접한 관련 있다. 이에 유아 문제행동을 의사소통장애 관점으로 접근하였을 때 언어발달의 어려움은 유아들의 행동에서도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집단 간 유아 문제행동 하위영역별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여섯 개의 유아 문제행동을 중심으로 각 하위 변인 별 12개 변인을 살펴보았다. 행동 문제의 하위 변인 공격성, 주의산만과 정서 문제 하위 변인 우울증, 불안, 틱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사회적 문제의 하위 변인에서 사회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도덕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도덕이란 사회규범을 알고 내면화한 것을 바탕으로 사고, 판단하고 행동하는 품성과 능력으로(Ko, 2008), 유아들의 타인 감정에 대한 민감성과 규범에 대한 인식을 근거로 도덕성의 기초는 아동 발달 초기 나타난다고 하였다(Gilligan & Wiggins, 1990). 또한 Moon(2011)은 도덕성이란 도덕과 관련된 상황에서 옳고 그름을 판단 할 수 있는 인지적인 능력이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인지적인 수준에서 도덕적 판단 발달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보고 도덕성의 인지적인 면을 강조하였다(Moon, 2011).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 언어재활사집단이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에 비해 유아 문제행동에서 도덕성 인식의 차이는 앞에서 기술한 발달적인 측면의 인지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유아의 옳고 그름에 대한 믿음과 가치는 인지능력과 언어능력의 전제 하에 이뤄질 수 있는 행동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생리 문제에서 배설, 섭식, 섭식 회피 중 섭식과 섭식 회피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배설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배설은 유노증과 유분증으로 나뉘는데 생후 5세까지 이루어져야 하는 배변습관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해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이다(Ko, 2018). Wang 등(2014)에 의하면 치매노인의 배설조절 기능은 인지능력이 낮을수록 대변기능의 조절이 어려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아의 인지능력 또한 배설 기능과 관련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결과를 기반으로 유아들의 문제행동이 언어재활 현장과 어린이집, 특수유치원 등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기대하며 더불어 문제행동이 심한 경우 현장에서 전문가가 직접적으로 코칭을 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만들어 더 큰 문제행동으로 나아가지 않도록 지원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오미라(2019)의 석사학위 논문을 수정ㆍ보완하여 작성한 것임.

This article was based on the first author’s master’s thesis from Kwangju Women’s University (2019).


References
1. Achenbach, T. M., & Edelbrock, C. (1983).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 Burlington: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asychiatry.
2. Bae, J. H., Cho, M. K., & Bong, J. Y. (2009).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discourse on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9(6), 165-189.
3. Ha, M. K. (2022). Effect of children’s school readiness, marital conflict, and mother depression on children’s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The Journal of Humanities & Social Science, 13(1), 2453-2467.
4. Hartup, W. W. (1991). Having friends, making friends and keeping friends: Relationships as educational context. Early Report. Minneapolis: Center for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University of Minnesota.
5. Hong, H. R., & Moon, H. L. (2017). Effects that burnout feeling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s on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Soonchunhyang Humanities & Hang Nong Chong, 26(3), 111-136.
6. Jang, H. S. (2009). Attachment problems and clinical art therap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linical Art Therapy, 4(2), 68-80. uci:I410-ECN-0102-2014-600-001974764
7. Jeong, H. Y., & Lee, S. J. (2014). Teachers’ recognition and teaching strategies for the behavioral problems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go resiliency.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 Education, 10(6), 347-368.
8. Ji, S. A., Hong, H. K., & Bae, J. M. (2021). Guidance for young children. Seoul: Jeongminsa.
9. Jo, H. S., & Seu, S. I. (1998). Relation between maternal and teacher’s perceptions of behavioral problem of childre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8, 165-181. uci:I410-ECN-0102-2009-370-006092483
10. Jun, I. W. (2014). A study on the kindergarten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ability and the quality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15(4), 639-659. uci:G704-001817.2014.15.4.022
11. Kim, E. H. (2007). A review of the transform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relationship focusing on the action research through learning community: Its journey and practices. The Journal of Transformatio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1(1), 5-28.
12. Kim, J. S., & Park, S. Y. (1997). Maternal traditional-modern values, childrearing practies and children’s social behavio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8(1), 125-142. uci:I410-ECN-0101-2018-375-002008229
13. Kim, S., & Hong, G. H. (2013). Analysis on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in speech therapy center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3), 444-455.
14. Ko, E. (2021). Education for children with communicative disorders. Seoul: Hakjisa.
15. Ko, I. S. (2008). A study for development and validation for teacher’s preschool behavior checklists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16. Ko, M. K. (2007). The method and meaning of instruction early childhood behavior in Korean and Japanese kindergarten teachers, Korean Journal of the Japan Education, 12(1), 169-181. uci:G704-002070.2007.12.1.008
17. Kwon, D. H., Shin, H. N., Lee, M. K., Jeon, H. S., Kim, S. Y., Yoo, J. Y., . . . Kim, H. J. (2012). An introduction to speech and language pathology. Seooul: Mulgwagil.
18. Kwon, H. J., & Chun, S. Y. (2015).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s temperament,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11(6), 79-96.
19. Kwon, S. J., Oh, S. N., & Lee, S. H. (2016). A study on related variables to young children’s behaviors problems: Children’s, mothers’ and peer relationship variable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4(4), 385-406.
20. Lee, C. S., & Hyun, E. J. (2008). The effects of children’s personal psychological variables and parents’ attitudes toward child rearing on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28(3), 51-70.
21. Lee, K. M. (2016). The realities of early childhood personality education for futur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Korean Association of Childcare Support, 4, 71-93.
22. Lee, K. S., Shin, Y. J., Jeon, Y. J., & Park, J. A. (2004).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 problem among young children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7(4), 53-73. uci:G704-000281.2004.17.4.007
23. Lee, S. J. (2008). A review of the research on positive behavioral support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 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8(1), 161-187. uci:G704-001667.2008.8.1.007
24. Lee, S. J., & Yoo, S. O. (2012).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nd variables on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s: Focusing on domestic article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6(6), 127-156. uci:G704-000814.2012.16.6.004
25. Lee, Y. A., & Pu, S. S. (2014). Relation of day-care teacher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family-teacher communi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6), 466-476.
26. Lee, Y. J., & Noh, S. H. (2017). The effect of parents’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n child’s problem behavior.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1(4), 301-324.
27. Moon, Y. R. (2011). Mun yongrin theory of moral prescription (pp. 84-85). Seooul: Samtoh.
28.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2018). The dictionary of special education. Seoul: Hyungseol.
29. Park, J. Y., Kang, S. D., & Kwon, K. S. (2010). The relations among children’s temperament and peer competence,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s, and the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7(4), 139-162. uci:I410-ECN-0102-2012-370-001877367
30. Park, M. H., & Kim, S. K. (2017). The relation of young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language competencies: A focus on the mediated effect of peer play interaction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1(5), 219-238. uci:I410-ECN-0102-2018-300-000645281
31. Shim, S. K., & Kim, G. H. (2014). Teachers’ perspectives on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 in an inclusive daycare center. Special Education Research, 13(3), 77-98.
32. Song, E. Y., & Lee, M. J. (2001).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parenting attitude. Journal of State University of Video Information, 8, 153-177.
33. Statistics Korea. (2019). A study on the indicators of family compatibility. Retrieved from https://www.kostat.go.kr/ansk/?bmode=download&bSeq=&aSeq=372031&ord=3
34. Wang, J. S., Moon, O. K., & Park, J. H. (2014). The correlation among cognitive function, ADL and eliminative function of elderly with dementia in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tertainment Industry, 8(1), 141-147.
35. Yin, R. Q., & Song, N. R. (2022).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behavioral problems in korea and chinese children. The Journal of Humanities & Social Science, 13(4), 1929-1944.

참 고 문 헌
36. 고미경 (2007). 한국과 일본 유치원교사의 유아 행동 지도 방법과 의미. 한국일본교육학회, 12(1), 169-181.
37. 고은 (2021). 의사소통장애아 교육. 서울: 학지사.
38. 고인숙 (2008). 교사용 유아 행동 문제 평가도구 개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9. 국립특수교육원 (2018).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형설.
40. 권도하, 신후남, 이무경, 전희숙, 김시영, 유재연, . . .김효정 (2021). 언어치료학개론. 서울: 물과길.
41. 권수진, 오새니, 이상희 (2016). 유아의 문제행동 관련 변인 연구: 유아변인, 어머니 변인, 또래관계 변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4), 385-406.
42. 권혜진, 전숙영 (2015).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역량,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79-96.
43. 김선, 홍경훈 (2013). 장애아 부모의 언어치료실 선택속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3(3), 444-455.
44. 김은희 (2007). 관계에 기초한 유아교육과정 변형 여정과 실천 돌아보기. 변형영유아교육연구, 11(1), 5-28.
45. 김지신, 박성연 (1997). 어머니의 전통-근대가치관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 한국아동학회, 18(1), 125-142.
46. 문용린 (2011). 문용린의 도덕 처방론(pp. 84-85). 서울: 월간샘터.
47. 박영희, 김신곤 (2017). 유아의 외현화 문제화 언어능력과의 관계: 또래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21(5), 2019-238.
48. 박지영, 강성단, 권경숙 (2010). 유아의 기질, 또래 유능성, 어머니의 양육 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4), 139-162.
49. 배지희, 조미경, 봉진영 (2009). 유아들의 문제행동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담론 분석. 유아교육연구, 29(6), 165-189.
50. 송의열, 이미자 (2001). 문제행동과 양육태도. 공주영상정보대학 논문집, 8, 153-177.
51. 심선경, 김건희 (2014). 특수교육 대상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통합어린이집 교사들의 관점. 특수교육, 13(3), 77-98.
52. 왕준산, 문옥곤, 박주현 (2014). 노인병원에 입원 중인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및 배설 기능의 상관관계. 한국엔터네이먼트산업학회논문지, 8(1), 141-147.
53. 은서기, 송나리 (2022). 한국과 중국의 유아 문제행동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인문사회 21, 13(4), 1929-1944.
54. 이경미 (2016). 미래인재육성을 위한 유아 인성교육의 실제. 한국육아지원학회 학술대회, 4, 71-93.
55. 이경숙, 신의진, 전연진, 박진아 (2004). 한국 유아 행동문제의 경향과 특성: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7(4), 53-73.
56. 이수정 (2008). 유아교육 환경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동향 및 지원요소 분석. 유아특수교육연구, 8(1), 161-187.
57. 이순자, 유순옥 (2012).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동향 및 유아 문제행동 관련 변인 분석: 국내 학회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6(6), 127-156.
58. 이영애, 부성숙 (2014). 보육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가족-교사 간의 의사소통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4(6), 466-476.
59. 이영진, 노승희 (2017).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1(4), 301-324.
60. 이찬숙, 현은자 (2008). 유아의 내재화ㆍ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개인변인과 부모양육태도. 유교육연구, 28(3), 51-70.
61. 장혜순 (2009). 애착문제와 임상미술치료. 임상미술치료학연구, 4(2), 68-80.
62. 전일우 (2014). 유아교사의 제반변인에 따른 유아문제행동 지도능력과 교사ㆍ유아 관계의 질에 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4), 639-659.
63. 정호경, 이시자 (2014). 유아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요인 및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지도 전략.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6), 347-368.
64. 조희숙, 서수인 (1998).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 지각과 어머니 지각 간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논총, 8, 165-181.
65. 지성애, 홍혜경, 배율미 (2021). 유아 생활지도. 서울: 정민사.
66. 통계청 (2019). 일 가정 양립지표 조사. https://www.kostat.go.kr/ansk/?bmode=download&bSeq=&aSeq=372031&ord=3.
67. 하민경 (2022). 유아 학습준비도, 부부갈등, 어머니 우울이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3(1), 2453-2467.
68. 홍혜림, 문혜련 (2017). 유아교사의 소진감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6(3), 111-136.

Appendix 1. 
Classification of gesture vocabulary types
항목(문항 수) 질문구성 항목(문항 수) 질문구성
행동 문제
(16문항)
공격성
(8문항)
• 물건을 일부러 망가뜨린다. 정서 문제
(13문항)
우울
(1문항)
• 아무 이유 없이 또는 아주 사소한 일에도 운다.
• 타인의 물건(학용품, 놀잇감 등)을 빼앗는다.
• 다른 아이와 자주 싸운다. 불안
(6문항)
• 어른에게 지나치게 매달리는(의존적인) 행동을 한다.
• 욕을 하거나 나쁜 말을 한다. • 부모와 떨어질 때, 심하게 울거나 떼를 쓴다.
• 화가 나면 놀잇감이나 주변 물건을 던진다. • 손톱을 물어뜯는다.
• 다른 아이를 말이나 행동으로 위협한다. • 특정 물건(담요, 놀잇감 등)에 집착한다.
• 어른에게 대들고 싸우려 든다. • 매사를 지나치게 걱정한다.
• 다른 사람을 신체적으로 공격한다.
주의
집중
(8문항)
• 장시간 집중하거나 주목할 수 없다. • 긴장하면 특이한 행동이나 소리를 한다.
• 외부자극에 쉽게 산만해진다.
(6문항)
• 지속적으로 눈을 깜박인다(의학적 소견이 아님).
• 다른 사람의 말을 귀 기울여 듣지 못한다. • 반복적으로 입가나 눈가를 씰룩거린다(의학적 소견이 아님).
• 부주의하여 과제나 놀이에 실수가 잦다. • 반복적으로 코를 킁킁대거나 훌쩍이는 소리를 낸다(의학적 소견이 아님).
• 항상 부산스럽다.
• 가만있지 못하고 끊임없이 손, 발, 머리 등을 움직인다. • 반복적으로 헛기침을 하거나 켁켁 거리는 소리를 낸다(의학적 소견이 아님).
• 제 자리에 앉아있지 못하고 돌아다닌다. • 반복적으로 고개를 흔들거나 어깨를 들썩이는 행동을 한다
• 차분히 차례를 기다리지 못한다. • 반복적으로 특정행동과 특정소리를 함께 보인다(의학적 소견이 아님).
사회성 문제
(12문항)
사회성
(6문항)
• 또래와 상호작용에 어려움이 있다. 발달 문제
(8문항)
인지 및 언어
• 연령에 비해 학습(모방) 능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 지나치게 이기적인 행동을 한다. • 연령에 비해 수, 양의 이해나 감각이 현저히 떨어진다.
• 놀잇감이나 먹는 것을 친구와 나누려고 하지 않는다. • 또래에 비해 말(표현력)이 너무 늦다.
• 지나치게 수줍어하거나 낯가림이 심하다.
• 집단 활동 시 협조적이지 않다. • 또래에 비해 이해력이 낮아 타인의 말을 못 알아 듣는다.
• 새로운 친구와 친해지기 힘들다.
도덕성
(6문항)
• 거짓말을 잘한다. •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언어적, 비언어적)에 문제가 있다.
• 기관(어린이집 등)의 물건을 집에 가져간다.
• 다른 사람의 물건을 훔친다. • 또래에 비해 발음이 어눌하다.
• 자신의 실수나 나쁜 행동을 다른 사람 탓으로 돌린다. • 또래에 비해 손이나 몸놀림이 둔하다.
• 집단의 규칙이나 질서를 지키려고 하지 않는다. • 연령에 비해 지나치게 어리게 말하거나 행동한다.
• 잘못된 행동을 하고도 미안해하거나 반성하지 않는다.
생리 문제
(7문항)
배설
(3문항)
• 옷에 소변이나 대변을 싸거나 지닌다. 성 문제
(6문항)
• 또래에 비해 성에 관한 말을 자주 하며 많이 한다.
• 화장실 가는 동안 참지 못하고 소변을 본다. • 성을 나타내는 그림을 그리거나 놀이를 자주 보인다.
• 화장실이 아닌 장소에서 소변 또는 대변을 본다. • 다른 사람의 특정부위(성기, 가슴 등)를 만지려고 한다.
섭식
(2문항)
• 먹는 것에 집착한다. • 자신의 성기를 자주 만진다.
• 음식(먹을 것)이 아닌 것을 입에 넣는다.
섭식회피
(2문항)
• 먹는 것에 관심이 없거나 거부한다. • 성기를 어디(바닥, 놀잇감, 인형 등)에 대고 마찰하는 소아 자위 행위를 보인다.
• 먹기 싫은 것을 먹고 나면 토한다. • 자위에 몰두하여 집단 활동에 어려움이 있다.